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2018. 11. 8.
반응형

처음으로 만들어 보는 블로그입니다.

 

바이크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써볼까 합니다.

 

 

 

라이딩을 안전하고 오래 타기 위함이기도 하고 하나하나 배워나가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주로 어디를 가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함이기도 합니다.

 

늘 가보던 곳 가던 곳이 아닌, 새로운 곳을 찾아갈 수 있을 때까지 가보렵니다.

 

 

 

그리고 어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기도 하고요

 

 

 

몇 가지 기준을 가지고 라이딩할 것이며 써 내려가렵니다.

 

 

 

2018-11-08 현재----------------------------------------------------------

 

1. 바이크 : 2016 야마하 MT-03 321cc 병렬 2기통 쿼터 바이크

 

2. 기어 변속은 최대 토크 9,000 rpm에 맞는 기어를 유지하며 라이딩합니다.

 

3. 해당 기어에서의 가속은 최대 출력이 나오는 10,750 rpm에 인접할 때까지 가속하며 이때 변속합니다.

 

4. 엔진 오일은 여러 가지 합성유를 사용하다가 앞으로는 쉘 어드벤스로 만 자가 교체하려 합니다.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자가 교환하는 것보다 군포 야하하점에서 정기적으로 점검받는 게 나을 거 같습니다.

 

정비 공임비가 생각보다 비싸서 웬만큼 할 수 있는 것은 자가 정비하는 것으로 필요한 공구는 하나하나 장만 중입니다.(쉘 어드벤스 , 해영 오일필터)

 

단, 엔진오일은 가장 싼 오일로만 교체할 예정입니다.

( 매뉴얼 권장 등급 : 10W-40 API 서비스 SG타입 이상, JASO 표준 MA 이상 <-자소 규격이 오일의 마찰계수로 건식 오일(자동차나 스쿠터)과 달리 습식 오일은 이 마찰력이 있어야 한다.)

 

5. 오일 교체 주기는 바이크 매뉴얼에 나와 있는 기준을 준수합니다. 5,000km -> 4,000Km 변경

이유, 이전 엔진오일을 100%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유를 비싼 돈 주고 넣었는데 오일이 많이 증발(연소)되었습니다.

이에 오일 교활 주기를 좀 더 줄이며 가성비 좋은 쉘 어드벤스로 넣었습니다.

세차할 때 좀 더 꼼꼼하게 오일 잔량을 확인해야겠습니다.

  -> 오일 증발이라기보다는 게이지 보는 법이 미숙했던 거 같습니다.

      ※ 오일 게이지 보는 법

          엔진 5분 정도 가열 및 정지 후 바이크 수직 확인 후 게이지가 상한선에 와야 합니다.

          엔진 시동 후 게이지가 하안선에 와야 정량입니다.

 

위와 같이 오일을 주입해야 오일량이 줄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1. 매뉴얼상 엔진오일 5000Km당 교환은 매뉴얼상 변속 타이밍 (6단 -> 60Km)와 같이 정속 주행했을 때의 교체 거리라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위 이야기를 다시 정리하면 "5,000 Rpm 유지해서 5,000Km마다 교환"이 매뉴얼상 교환 주기라는 소리고 실질적으로는 "10,000 Rpm 유지에 5,000km마다 교환"은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회전수가 많아진 만큼 주행 거리도 짧아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앞으로는 

10,000 Rpm을 유지한다면 주행 가능 거리는 2,500 Km마다 교환하고 필터는 5,000 Km마다 한번 교체하는 기준으로 가는 것이 합당할 뜻합니다.

 

※ 한국 소비자 원에서 5,000Km 주행한 엔진오일과 10,000Km 주행한 엔진오일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신유와 별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이에 고 알피엠 운용을 감안하더라도 매뉴얼상 교체 주기대로 교체해도 별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 오일 필터는 오일 교체 시 같이 교체하는 것으로 합니다.

 -> 5,000Km마다 오일 및 필터 교체 

->필터 역시 매뉴얼대로 10,000Km마다 오일 2번 교체 시 필터 1번 교체하는 걸로 하려 합니다.

-> 필터를 저렴한 해영-0001필터로 바꾸었기에 5,000Km 마다 오일과 같이 갈기로 합니다.

 

검사항목
검사 결과

6. 네비는 맵피를 사용하며 자동차 우선 외 다른 경로는 모두 off 시켜 사용합니다.

 

네비는 믿을게 못됩니다. 항상 참고만 하세요 -> 네이버지도가 경유지 5개까지 입력할 수 있어서 테스트 후 주력으로 사용 할 예정임.

 

7. 주유는 카드 할인 GS만 사용하며 맵피 내 이동 경로 내 주유소 검색 시 GS만 표기하여 사용합니다.

 

8. GPX 경로 저장은 'Geo Tracker' 안드로이드 어플을 사용합니다.

 

9. GPX 경로 파일을 하나로 묶는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 http://joewein.net/bike/gpxmerge/ ' GPX_merge_combine.exe '라는 공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10. GPX 파일은 구글 지도에서 불로 오기할 수 있습니다.

 

11. 처음 이동 경로는 다음 지도를 같은 스케일로 맞추어 여러 경로를 '포토샵'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도로 만듭니다.

 

12. GPX 경로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것은 ' http://www.gpsnote.net/ '(루트 에디터)를 이용합니다.

 

13. 어플에서 자동 생성되는 GPX 파일은 용량이 크며 용량을 압축하는 것 역시 '루트 에디터 '를 이용합니다. (단순 불러오기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으로 가능합니다.)

 

14. 간편하게 위 작업을 자동으로 해주는 ' https://www.relive.cc/  '라는 어플도 사용합니다.